분류 전체보기

들어가며뉴스레터 검색 기능을 재설계 및 개선하다가뜻밖에 먼저 건드려야 할 친구를 하나 발견했다. 바로 HTML 태그였다. “본문은 텍스트가 중요한데, 왜 굳이 태그까지 다 들고 있어야 하지?”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고민과, 그걸 정리해 가는 과정들을 한 번 적어봤다. 뉴스레터 검색, 첫 번째 장애물: HTML 태그우리 서비스에서 다루는 뉴스레터는 이런 식으로 생겼다. 모든 뉴스레터는 HTML 형태로 들어오고, DB에는 대략 이런 형태로 저장된다. 검색 기능을 개선하면서, 이 `contents` 칼럼에서 HTML 태그를 걷어내는 작업이 필요해졌다. 현재 `contents`에는 HTML 태그를 포함한 본문 전체가 들어 있다.문제는 이 칼럼의 길이가 보통 8,000자 ~ 15,000자 정도라는 점이다. 검색 성..
👋 들어가며처음에는 검색을 정말 단순한 문제라고 생각했다.그냥 검색어만 넣으면 결과가 쭉 나오면 되는 거 아닌가? 그런데 직접 구현하고, 부하 테스트까지 돌려 보니생각보다 함께 고려해야 할 것들이 훨씬 많다는 걸 알게 됐다.그리고 아마 앞으로도 계속 고민할 지점이 남아 있을 것 같다. 지난 몇 달 동안 검색 기능을 조금씩 만들고 고쳐 오면서 했던 생각들을드디어 글로 정리하게 되었다. 🚀 우리 서버의 검색기능 봄봄 서비스에는 “내가 받은 아티클 안에서 검색하는 기능”이 있다.처음 구현은 아주 단순했다.WHERE title LIKE '%:keyword%' OR content LIKE '%:keyword%'즉, 제목이나 본문에 keyword가 어디에라도 포함되어 있으면 검색 결과에 나오도록 한 것이..
현재 우리 서버는 한창 알림을 만드는 중이다. 이 과정에서 알림을 보내기 위한 기본 정보들이 DB에 저장이 안 되는 일이 발생했다.what?분명 코드적으로 문제가 없는 것 같은데 왜 저장이 안되는 걸까?? 처음에는 이유를 알 수 없었다. @TransactionalEventListener public void onArticleArrived(ArticleArrivedEvent event) { try { ArticleArrivalNotification articleArrivalNotification = ArticleArrivalNotification.builder() .articleId(event.articleId())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Spring
(이 글에서는 OSIV/OEMV 모두 OSIV로 지칭합니다)(이 글을 작성할 수 있게 소스를 준 노랑에게 감사합니다) 우연히 노랑이라는 크루를 통해 `@Transactional`을 붙이지 않았는데 더디체킹이 된다는 소리를 들었고 실제로 Query를 보니 update를 하지 않았는데 update가 되었다. 처음 봤는데 신기했다. 동시에 무엇때문에 그러는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문제의 코드는 아래와 같다. public void cancelReservationById(final long id) { waitingRepository.findFirstByReservationIdOrderByCreatedAtAsc(id) .ifPresentOrElse( (..
· Spring
레벨 2 미션을 처음 했을 때, 습관처럼 컨트롤러에서 반환 값을 ResponseEntity로 감싸서 처리했다.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코드였다.@GetMapping("/users/{id}")public ResponseEntity getUser(@PathVariable Long id) { return ResponseEntity.ok(userService.findUser(id));}사실 이전 프로젝트에서도 큰 고민 없이 이렇게 사용했고, "왜?"라는 질문조차 던지지 않았다.미션을 제출한 후에도 자연스레 의심 없이 지나쳤다. 그러다 우연히 다른 크루의 코드 리뷰를 보며 처음으로 궁금증이 생겼다. 이때부터 생각했다. `ResponseEntity`가 무엇이고 왜 써야 하지? 안 쓰면 어떻게 될까? 🚀..
· Spring
웹 개발을 공부하다 보면 클라이언트와 서버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간단히 말해 클라이언트는 웹브라우저처럼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는 쪽이고, 서버는 이 요청을 받아서 처리한 후 응답을 보내주는 쪽이이다.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요청(Request)이라고 하고, 반대로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응답(Response)이라고 부른다.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웹사이트는 페이지를 새로 고치지 않고도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자연스럽게 동작한다.이런 방식을 바로`비동기 통신`라고 한다.비동기 통신을 하려면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요청을 보낼 때 데이터를 'Body'라는 부분에 담아서 보내야 한다.서버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할 때 마찬가지로 'Body'에 데이터를 담아서 보내준다.이렇게 Body에 담아서 ..
· JAVA
평소에 정적 팩터리 메서드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 있었지만 뭔가 나만의 기준이 모호하다는 것을 느꼈다. 사용하다보면 뭔가 규칙성이 크게 없다는 느낌을 자주 받았다. 그러다가 아래와 같은 리뷰를 받고 정리하고 넘어가야겠다고 생각했다. 아래 코드에 위에 같은 리뷰를 받았다.public class Deck { private final Queue cards; private Deck(final List cards) { this.cards = new LinkedList(cards); } public static Deck createShuffledDeck(final ShuffleStrategy shuffleStrategy) { final List generated..
개발자성장기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